-한국의 미국 수출 품목의 순위를 보면 한국의 수출 품목이 보인다. 1위 자동차, 2위 반도체를 비롯한 스마트폰/컴퓨터 푸품, 3위 자동차의 부품. 3가지는 한국에서 가장 큰 기업에서 성장을 보인 제품들이다. 하지만 그만큼 품목의 제한은 한국의 미국 수출량이 많아질수록 리스크가 올라가는 부분이 크다.
-특히 한미 자동차 수출량은 불과 4년만에 60만 대가 넘게 증가하였으나 미국 자동차는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지 못하여 2만 대가 줄어든 상황이다. 트럼프 정부에서 이러한 상황을 지켜보지 않을 것은 자명한 상태이다.
-이러한 결과로 한국 자동차는 전체 한국 수출 중 27% 정도가 미국으로 수출되는 물량으로 1/4 넘는 상황이다.
-더욱 큰 수치는 자동차 수출 278만대 중 143만 대 약 절반이 넘는 수준으로 현대/기아 자동차의 경우 미국의 요구를 받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.
-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관세를 통한 무역의 불균형을 깨는 것이 트럼프의 수단이다.
-한국에서는 쿼터제의 도입으로 수출물량을 제외하거나 차종별 관세 차등화로 최대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.
-추가 방법으로는 MOU과 같이 미국내에서 미국 자동차 회사와 조인하여 한국 물량의 일부분을 GM과 같은 미국 브랜드로 판매하는 방법이 있다.
-매일매일 뉴스에서 한국의 자동차 시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상황의 변화를 지켜보아야 할 듯하다.
중앙일보
중앙일보(The JoongAng)는 정치, 경제, 사회, 국제, 외교안보, 문화, 스포츠 등 각 분야의 현장과 세상에 가려진 사실을 발굴해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.
www.joongang.co.kr
'MONEY & TREND 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조배터리 기내반입 이제 갈수록 기준이 높아질까 25.2.14 머투 (8) | 2025.02.20 |
---|---|
한국 자동차 미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과 판매량은? 25.2.14 중앙 (6) | 2025.02.19 |
중국 AI 기술개발 특허에 올인하였나,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 AI 25.2.3 중앙 (20) | 2025.02.18 |
삼성이 말하던 초격차 10년만에 삼성과 TSMC 역전 25.2.13 중앙 (8) | 2025.02.17 |
미국의 국가별 수입 비중 순위, 한국의 미주 수출은 어떻게 될까 25.2.3 중앙 (4) | 2025.02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