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-작년 기준 대비 반도체 수출은 15조 원으로 국가 경제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.
-중국 씨앤에어를 비롯하여 중국에서 출발하여 한국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 화물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출 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려 된다.
-2024년 미국의 국가별 수입 비중에서 한국은 4%로 7위에 등록되어 있다.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은 수입 비중이 큰 국가를 시작으로 차츰차츰 아래 국가로 압박이 이동해 가고 있는 상황, 1순위 관세 인상 국가인 멕시코, 중국, 캐나다 모두 압박이 강하게 반영되는 경우 국가적으로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 예상된다.
-한국의 경우 7위지만 고부가가치인 반도체를 비롯하여 자동차, 전자제품은 단가가 높은 수출 화물을 중심으로 포지셔닝 되어 있기에 리스크가 크다.
-한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금액 15조원으로 금액적으로 클 뿐만 아니라 반도체 수출 비중은 7.5%로 상위 수출 국가이다.
-미국에 더 투자를 한다고 해도 트럼프 스타일상 일부의 이득을 얻기 전까지 이러한 관세폭탄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.
반응형
'MONEY & TREND 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국 AI 기술개발 특허에 올인하였나,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 AI 25.2.3 중앙 (18) | 2025.02.18 |
---|---|
삼성이 말하던 초격차 10년만에 삼성과 TSMC 역전 25.2.13 중앙 (5) | 2025.02.17 |
글로벌 AP 순위, 삼성의 모바일 핵심은 저무는 것일까 25.2.11 머투 (2) | 2025.02.15 |
대한민국 10대 로펌의 매출액 순위는 어디일까? 25.2.3 머투 (2) | 2025.02.14 |
A급인재 47%가 중국? 한국은 전세계 AI연구에서 어떻게 될까? 25.2.5 중앙 (0) | 2025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