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빨간색이 흑자, 파란색이 적자 제1공항 인천국제공항의 5조 원이 넘는 금액을 제외하면 김포, 김해, 제주 공항 등 관광과 부산 그리고 서울권 내의 접근성이라는 이유로 3곳의 공항은 흑자 운영을 이어나가고 있다. -반면 다른 지방 공항들의 경우 적게는 200억대 크게는 1천억원이 넘는 적자 운영을 이어나가고 있는 상황이다. -제주항공의 무안의 경우에도 시설을 운영해 나갈 사람 자체가 부족한 상황이었다. 관심이 없는 사람은 모르겠지만 항공 화물의 경우에는 여객 분야보다 심각하여 지방 공항을 통한 수출을 하고 싶어도 해당 지역에 관련 업무를 볼 수 있는 사람과 운영시간에 제한이 크다. 이러한 사유로 결국은 인천 공항을 통한 수출길이 대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. -가덕도의 경우에도 정치적인 부분이 포함되었기에..